본문 바로가기
⚔️ 그리스전쟁사

⚔️ 그리스도시국가들이 전쟁사

by 전장의기록자 2025. 5. 15.
반응형

 

 

고대 그리스 도시국가들의 주요 전쟁사

고대 그리스의 역사는 수많은 전쟁으로 점철되어 있습니다. 도시국가(폴리스) 간의 갈등부터 외부 세력에 대한 공동 방어까지, 이 전쟁들은 그리스 문명의 발전과 쇠퇴에 중요한 영향을 미쳤습니다. 주요 전쟁들을 시대순으로 정리해 보겠습니다.

⚔️ 초기 그리스 시대의 전쟁(기원전 8-6세기)

🔹레란티네 전쟁(기원전 720-680년경)

🔸참전 세력: 칼키스와 에레트리아(유보이아 섬의 두 도시국가)를 중심으로 한 동맹들

🔸원인: 레란티네 평원의 비옥한 토지 소유권 분쟁

🔸특징:

그리스 최초의 대규모 도시국가 간 전쟁으로 추정

밀레토스, 사모스, 코린토스 등 다른 도시국가들도 각각 편을 들어 참전

귀족 기사들의 11 전투가 주를 이룸

🔸결과: 칼키스의 승리로 추정되나 확실한 기록 없음

🔹1차 메세니아 전쟁(기원전 743-724년경)

🔸참전 세력: 스파르타 vs 메세니아

🔸원인: 스파르타의 영토 확장 욕구

🔸특징:

스파르타가 메세니아 지역 정복을 위해 시작

이라 산성에서의 긴 포위전

아리스토메네스가 이끈 메세니아인들의 강력한 저항

🔸결과:

스파르타의 승리

메세니아인들이 헤일로타이(농노)로 전락

🔸스파르타 군사국가의 기반 형성

🔹2차 메세니아 전쟁(기원전 685-668년경)

🔸참전 세력: 스파르타 vs 메세니아와 아르고스 동맹

원인: 메세니아인들의 독립 항쟁

🔸 특징:

티르타이오스의 전쟁 시가 등장

아르고스, 아르카디아, 피사, 시키온이 메세니아 지원

🔸 결과:

스파르타의 재승리와 메세니아 완전 복속

스파르타 사회구조의 공고화

🔹사가라 전투(기원전 600년경)

🔸 참전 세력: 메가라 vs 코린토스

🔸 원인: 살라미스 섬 소유권 분쟁

🔸 특징:

아테네의 솔론이 중재 역할

🔸 결과: 살라미스가 결국 아테네의 소유가 됨

🔹1차 신성 전쟁(기원전 595-585년경)

🔸 참전 세력: 델피 암피크티오니 동맹 vs 키라/크리사

🔸 원인: 키라/크리사가 델피 신전 방문객에게 과도한 세금 부과

🔸 특징:

종교적 대의명분을 내세운 최초의 그리스 전쟁

솔론과 클레이스테네스의 주도적 역할

🔸 결과:

키라 파괴

피티안 경기 제정

델피의 자율성 확보

⚔️ 그리스-페르시아 전쟁 시대(기원전 499-449)

🔹이오니아 반란(기원전 499-493)

🔸 참전 세력: 이오니아 그리스 도시들 vs 페르시아 제국

🔸 원인:

페르시아의 지배에 대한 불만

밀레토스의 아리스타고라스와 페르시아의 지원을 받는 독재자들 간의 갈등

🔸 특징:

아테네와 에레트리아가 이오니아 도시들 지원

사르디스 소각

🔸 결과:

기원전 494년 라데 해전에서 이오니아 함대 패배

밀레토스 파괴

페르시아의 그리스 본토 침공 동기 제공

🔹1차 페르시아 침공(기원전 492-490)

🔸 참전 세력: 아테네, 플라타이아 vs 페르시아(다리우스 1)

🔸 주요 전투:

마라톤 전투(기원전 490)

🔸 특징:

마르도니오스의 트라키아, 마케도니아 원정

아토스 곶에서 페르시아 함대 파괴(기원전 492)

필리피데스의 전설적인 마라톤 달리기

🔸 결과:

마라톤에서 아테네의 결정적 승리

아테네의 자신감 증가와 민주주의 강화

🔹2차 페르시아 침공(기원전 480-479)

🔸 참전 세력: 그리스 도시국가 연합(스파르타, 아테네 주도) vs 페르시아(크세르크세스 1)

🔸 주요 전투:

테르모필레 전투(기원전 480)

아르테미시움 해전(기원전 480)

살라미스 해전(기원전 480)

플라타이아 전투(기원전 479)

미칼레 곶 전투(기원전 479)

🔸 특징:

헬레스폰트를 잇는 다리를 통한 대규모 페르시아군 진격

레오니다스와 300명 스파르타 병사의 영웅적 저항

테미스토클레스의 전략적 해군 강화 정책

🔸 결과:

그리스의 완전한 승리

페르시아 침략 위협 제거

델로스 동맹 결성과 아테네 해상 제국의 기반 마련

🔹그리스-페르시아 전쟁의 후속 전투들(기원전 478-449)

🔸참전 세력: 델로스 동맹(아테네 주도) vs 페르시아

🔸주요 전투:

에우리메돈 강 전투(기원전 466)

키프로스와 이집트 원정

살라미스(키프로스) 전투(기원전 450)

🔸특징:

키몬의 지휘 아래 아테네의 공세적 작전

이집트 원정의 실패

🔸결과:

칼리아스의 평화(기원전 449)로 공식 종전

아테네 제국의 확장

 

 

 

⚔️ 펠로폰네소스 전쟁 시대(기원전 460-404)

🔹1차 펠로폰네소스 전쟁(기원전 460-445)

🔸참전 세력: 아테네 제국 vs 펠로폰네소스 동맹(스파르타, 코린토스, 테베)

🔸주요 전투:

타나그라 전투(기원전 457)

오이노피타 전투(기원전 457)

코로네이아 전투(기원전 447)

🔸특징:

아테네의 메가라와 동맹

보이오티아에서의 아테네 패배

아이귑토스에서 아테네의 원정 실패

🔸결과:

●30년 평화 조약 체결(기원전 445)

아테네의 영토 확장 중단

🔹사모스 전쟁(기원전 440-439)

🔸참전 세력: 아테네 vs 사모스

🔸원인: 사모스의 델로스 동맹 탈퇴 시도

🔸특징:

페리클레스의 지휘

9개월간의 포위전

결과: 아테네의 승리와 사모스의 재복속

🔹펠로폰네소스 전쟁(기원전 431-404)

🔸참전 세력: 델로스 동맹(아테네 주도) vs 펠로폰네소스 동맹(스파르타 주도)

🔸원인:

아테네 제국의 팽창

메가라 칙령

코르키라-코린토스 분쟁과 포티다이아 반란

주요 시기와 전투:

🔹아르키다모스 전쟁(기원전 431-421)

플라타이아 포위와 함락(기원전 429-427)

스팍테리아 전투(기원전 425)

델리움 전투(기원전 424)

암피폴리스 전투(기원전 422)

🔹니키아스의 평화(기원전 421-415)

만티네이아 전투(기원전 418)

멜로스 함락(기원전 416)

🔹시칠리아 원정(기원전 415-413)

시라쿠사 포위전

대규모 아테네 원정대 전멸

🔹데켈레이아 또는 이오니아 전쟁(기원전 413-404)

🔸데켈레이아 요새화

🔸키노스세마 해전(기원전 411)

🔸키지코스 해전(기원전 410)

🔸아르기누사이 제도 해전(기원전 406)

🔸아이고스포타모이 해전(기원전 405)

🔸아테네 포위(기원전 405-404)

🔸특징:

페리클레스의 "소극적 전쟁 전략"

아테네 내 역병 창궐

스파르타의 페르시아 지원 획득

알키비아데스의 수차례 편 바꿈

🔸결과:

스파르타의 승리

아테네의 장벽 파괴와 함대 해체

30인 독재정 수립

그리스 세계에서 스파르타의 헤게모니 수립

⚔️ 스파르타 헤게모니에서 테베 시대까지(기원전 404-362)

🔹엘리스-스파르타 전쟁(기원전 402-400)

참전 세력: 스파르타 vs 엘리스

원인: 엘리스의 스파르타에 대한 도전

결과: 스파르타의 승리, 엘리스의 펠로폰네소스 동맹 복귀

🔹코린토스 전쟁(기원전 395-387)

🔸참전 세력: 스파르타 vs 코린토스, 아테네, 테베, 아르고스 동맹(페르시아 지원)

🔸주요 전투:

할리아르토스 전투(기원전 395)

네메아 전투(기원전 394)

코로네이아 전투(기원전 394)

크니도스 해전(기원전 394)

레카이온 전투(기원전 390)

🔸특징:

소아시아에서 스파르타의 공격적 정책에 대한 반발

페르시아의 그리스 내정 개입 증가

🔸결과:

안탈키다스의 왕의 평화(기원전 387)

소아시아 그리스 도시들의 페르시아 복속

그리스 도시국가들의 명목상 자치

🔹보이오티아 전쟁(기원전 378-371)

🔸참전 세력: 스파르타 vs 테베(후에 아테네 동맹)

🔸원인: 테베의 보이오티아 동맹 재건 시도

🔸주요 전투:

텍트라 전투

레우크트라 전투(기원전 371)

🔸특징:

에파미논다스의 혁신적인 전술(사선 전술)

펠로피다스가 이끄는 테베 신성대대의 활약

🔸결과:

테베의 결정적 승리

스파르타 헤게모니의 종말

메세니아 독립과 스파르타 세력 약화

🔹테베의 펠로폰네소스 침공(기원전 370-369)

🔸참전 세력: 테베 vs 스파르타

🔸주요 사건:

메갈로폴리스 건립

메세네 재건

🔸결과: 스파르타 세력의 급격한 감소

🔹만티네이아 전쟁(기원전 362)

🔸참전 세력: 테베, 아르고스, 메세니아, 아르카디아의 일부 vs 스파르타, 아테네, 엘리스, 아카이아, 아르카디아의 일부

🔸주요 전투: 만티네이아 전투(기원전 362)

🔸특징:

에파미논다스의 마지막 전투이자 전사

복잡한 동맹 관계의 재편

🔸결과:

테베의 군사적 승리이나 에파미논다스 사망으로 정치적 영향력 감소

그리스 전역의 세력 균형 변화와 혼란

"모두가 패배한 승리"로 평가

⚔️ 마케도니아 시대(기원전 359-323)

🔹3차 신성 전쟁(기원전 356-346)

🔸참전 세력: 포키스 vs 테베 주도 암피크티오니 동맹

🔸원인: 포키스가 델피 신전의 보물 약탈

🔸특징:

필립 2세의 그리스 내정 개입 계기

포키스의 용병 대군 고용

🔸결과:

마케도니아의 중재로 포키스 패배

필립 2세의 암피크티오니 동맹 가입과 영향력 확대

🔹4차 신성 전쟁(기원전 339-338)

🔸참전 세력: 아테네, 테베 동맹 vs 마케도니아(필립 2)

🔸주요 전투: 카이로네이아 전투(기원전 338)

🔸원인: 암피사에 대한 처벌을 명분으로 한 필립 2세의 그리스 남부 진출

🔸특징:

데모스테네스의 반마케도니아 연설과 동맹 구축

아테네와 테베의 일시적 화해

🔸결과:

마케도니아의 결정적 승리

코린토스 동맹 결성과 그리스 도시국가들의 자치권 제한

페르시아 원정 준비

 

 

 

🔹알렉산더의 동방 원정(기원전 334-323)

🔸참전 세력: 마케도니아와 그리스 동맹군 vs 페르시아 제국

🔸주요 전투:

그라니코스 강 전투(기원전 334)

이수스 전투(기원전 333)

가우가멜라 전투(기원전 331)

히다스페스 강 전투(기원전 326)

🔸특징:

알렉산더의 빠른 기동력과 전술적 천재성

동서양 문화의 융합 시도

🔸결과:

페르시아 제국 멸망

헬레니즘 시대 개막

알렉산더 제국 건설

🔹라미아 전쟁(기원전 323-322)

🔸참전 세력: 아테네 주도 그리스 도시국가 동맹 vs 마케도니아

🔸원인: 알렉산더 사망 후 독립 회복 시도

🔸주요 전투:

라미아 포위전

크라논 전투(기원전 322)

🔸특징:

아테네의 마지막 독립 투쟁

아테네 함대의 일시적 승리

🔸결과:

그리스 동맹의 패배

아테네 민주정의 실질적 종말

마케도니아의 그리스 지배 공고화

⚔️ 헬레니즘 시대의 전쟁(기원전 323-146)

🔹디아도코이 전쟁(기원전 322-281)

🔸참전 세력: 알렉산더의 장군들(안티고노스, 셀레우코스, 프톨레마이오스, 리시마코스, 카산드로스 등)

🔸주요 전투:

입소스 전투(기원전 301)

쿠루페디온 전투(기원전 281)

🔸특징:

알렉산더 제국의 분열과 후계자 전쟁

복잡한 동맹 관계와 배신

🔸결과:

헬레니즘 3대 왕국(셀레우코스, 프톨레마이오스, 안티고니드) 형성

소규모 왕국들의 등장(아탈로스, 폰토스, 비티니아 등)

🔹켈트족 침입(기원전 279-278)

🔸참전 세력: 그리스 도시국가들, 마케도니아 vs 켈트족(갈라티아인)

🔸주요 전투:

테르모필레 전투(기원전 279)

델피 방어전(기원전 279)

리시마케이아 전투(기원전 277)

🔸특징:

●켈트족의 대규모 발칸반도 침입

델피 신전 약탈 시도

🔸결과:

켈트족 격퇴 성공

일부 켈트족의 소아시아 정착(갈라티아)

안티고노스 고나타스의 마케도니아 왕위 획득

🔹크레모니데스 전쟁(기원전 267-261)

🔸참전 세력: 아테네, 스파르타, 프톨레마이오스 동맹 vs 마케도니아(안티고노스 고나타스)

🔸원인: 그리스 독립 운동과 헬레니즘 왕국 간 갈등

🔸특징:

아테네의 마지막 주요 독립 전쟁

크레모니데스 법령으로 시작

🔸결과:

마케도니아의 승리

아테네의 완전한 종속

그리스 반도에서 마케도니아 영향력 강화

🔹클레오메네스 전쟁(기원전 229-222)

🔸참전 세력: 스파르타(클레오메네스 3) vs 아카이아 동맹과 마케도니아

🔸원인: 클레오메네스의 급진적 개혁과 스파르타 부흥

🔸주요 전투: 셀라시아 전투(기원전 222)

🔸특징:

스파르타의 마지막 주요 군사적 활동

토지 재분배와 부채 탕감 등 혁명적 개혁

🔸결과:

스파르타의 패배와 클레오메네스 이집트 망명

마케도니아의 펠로폰네소스 영향력 강화

🔹사회 전쟁(기원전 220-217)

🔸참전 세력: 아이톨리아 동맹 vs 아카이아 동맹과 마케도니아

🔸원인: 그리스 동맹들 간의 영향력 경쟁

🔸특징:

●그리스 본토 동맹 간의 복잡한 권력 투쟁

필립 5세의 개입

🔸결과: 나우팍토스 평화로 종결, 동맹 간 세력 균형 유지

🔹마케도니아 전쟁(기원전 214-148)

🔸참전 세력: 로마 vs 마케도니아(와 그리스 동맹들)

🔹1차 마케도니아 전쟁(기원전 214-205)

🔸원인: 필립 5세의 한니발과의 동맹

🔸결과: 페니케 평화, 현상 유지

🔹2차 마케도니아 전쟁(기원전 200-196)

🔸주요 전투: 키노스케팔라이 전투(기원전 197)

🔸결과:

마케도니아 패배

플라미니누스의 "그리스의 자유" 선언

마케도니아의 영향력 감소

🔹3차 마케도니아 전쟁(기원전 171-168)

🔸주요 전투: 퓨드나 전투(기원전 168)

🔸결과:

페르세우스 왕의 패배와 포로화

마케도니아의 4개 공화국으로 분할

🔹4차 마케도니아 전쟁(기원전 150-148)

🔸특징: 안드리스코스(가짜 필립)의 반란

🔸결과:

마케도니아의 로마 속주화

마케도니아 왕국의 최종 멸망

🔹아카이아 전쟁(기원전 146)

🔸참전 세력: 로마 vs 아카이아 동맹

🔸원인: 아카이아 동맹의 스파르타와의 분쟁과 로마 개입 거부

🔸주요 전투: 코린토스 전투

🔸특징: 그리스의 마지막 독립 투쟁

🔸결과:

코린토스 파괴

그리스의 로마 지배 하에 편입

독립 그리스 도시국가 시대의 최종 종말

⚔️ 그리스 내전과 소규모 분쟁들

🔹아르고스-스파르타 분쟁

티레아 전투(기원전 546): 300명의 챔피언 간 결투로 유명하나 결국 정규군 전투로 확대

세피아 전투(기원전 494): 클레오메네스 1세가 이끈 스파르타의 결정적 승리, 아르고스 남성 인구 대규모 감소

🔹나소스 포위전(기원전 499)

참전 세력: 페르시아(아리스타고라스) vs 나소스

특징: 이오니아 반란의 직접적 원인이 된 실패한 공격

🔹에기나 전쟁(기원전 505-491)

참전 세력: 아테네 vs 에기나

원인: 무역 경쟁과 지역 패권 다툼

결과: 에기나의 우세로 종결되었으나 후에 페르시아 전쟁 중 아테네에 복속

🔹사모스 반란(기원전 440-439)

참전 세력: 아테네 vs 사모스

원인: 사모스의 밀레토스와의 영토 분쟁과 아테네 개입

결과: 9개월 포위 끝에 사모스 항복, 성벽 파괴와 배상금 부과

🔹케르키라 내전(기원전 427-425)

🔸참전 세력: 케르키라의 민주파(아테네 지원) vs 과두파(스파르타 지원)

🔸특징:

펠로폰네소스 전쟁의 일부

투키디데스가 묘사한 극단적 잔혹함

결과: 민주파의 승리와 과두파의 대량 학살

🔹테소프로티아 원정(기원전 426)

참전 세력: 아테네 vs 테소프로티아

특징: 데모스테네스 장군의 서부 그리스 작전

결과: 아테네의 몰락

🔹코린토스 내전(기원전 392)

참전 세력: 코린토스의 민주파 vs 과두파

특징: 코린토스 전쟁 중 발생한 정치적 혼란

●결과: 아르고스와의 정치적 통합

🔹베 해방(기원전 379)

🔸참전 세력: 테베 민주파 vs 스파르타 점령군

🔸특징:

펠로피다스의 비밀 귀환과 성공적 쿠데타

스파르타 주둔군 축출

결과: 테베의 독립 회복과 보이오티아 동맹 재건

🔹파바스 왕의 티라니아 전쟁(기원전 272)

참전 세력: 스파르타 vs 페라이

특징: 스파르타의 북부 그리스 개입

🔹투기 봉기(기원전 180)참전 세력: 아이톨리아 연맹 농민들 vs 로마 지지 귀족층특징:

로마의 마케도니아 정복 이후 그리스 내 경제적 불평등 심화

농민층의 부채 탕감 요구와 토지 재분배 운동

아이톨리아 지역 전역으로 확산된 반로마 정서결과: 로마군의 무력 진압과 아이톨리아 연맹의 자치권 약화

🔹코린트 전쟁(기원전 395-387)참전 세력: 테베, 아테네, 코린트, 아르고스 vs 스파르타특징:

스파르타의 그리스 헤게모니에 대한 반발

페르시아의 재정적 지원을 받은 반스파르타 동맹

코논의 해군 지휘력이 돋보인 해전결과: 안탈키다스 화약으로 종결, 소아시아 그리스 도시들이 페르시아에 할양됨

🔹레우크트라 전투(기원전 371)참전 세력: 테베 vs 스파르타특징:

에파미논다스의 혁신적인 사선 전술 도입

테베의 신성 부대 활약

스파르타 불패 신화의 종말결과: 테베의 그리스 패권 장악과 스파르타 군사력의 영구적 쇠퇴